본문 바로가기
당신을 위한 정보

오토바이 면허 따는법 정리

by $%$%$% 2020. 3. 7.


원동기 면허를 가지고 있다면 가까운곳을 이동할 때나 통학이나 출근을 할 때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습니다. 비단 이동하는 수단으로 이용하는것 뿐만 아니라 취미로도 잘 이용하는데 그렇기 위해선 원동기 면허를 가지고 있어야 하겠죠. 그렇기 위해선 자격이 되어야 하는데 비용과 종류, 나이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야 합니다. 오늘은 오토바이 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 안내 하도록 하겠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참고 해 보시기 바라요.

 

원동기 면허

 

먼저 2종 원동기 면허는 CC(배기량)을 기준으로 125cc 이하의 오토바이를 운전할 수 있는 자격증을 의미합니다. 취득할 수 있는 나이는 만 16세 이상부터이며 고등학교 때도 취득 가능한 자격증입니다. 1종 보통이나 2종보통 면허를 가지고 있으신 분이라면 따로 원동기 자격증 없이 125cc 이하의 이륜 바이크를 운전하실 수 있습니다.

 

원동기 면허는 CC의 제한이 있고, 소형 2종 면허증은 CC에 대한 제한없이 모든 원동기를 탈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이는 만 18세 이상부터 자격증을 따실 수 있고 자신이 1, 2종 보통 면허가 있다고 하더라도 배기량이 125cc가 넘어가는 오토바이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2종 소형 면허가 필요합니다.

 

취득 방법

 

소형 2종 면허를 따기 위해서는 먼저 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하며 이수를 받고나면 신체검사를 통해 운전자의 신체상태를 파악한 후 그 다음 필기 시험과 기능시험에서 합격을 해야만 자격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안전교육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신분증과 같이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준비물이 필요하고 다른 운전면허증이 있는 경우에는 오토바이 면허시험 중 기능시험이나 신체검사가 생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2종 원동기와 2종 소형 모두 시험에서 60점 이상이 나와야 자격증을 취득 하실 수 있습니다. 시험 시간은 1시간이 채 안되는 40분 동안이며 객관식 문제로 시험을 풀게 됩니다. 면허의 수수료는 2종 소형이 1만원 2종 원동기가 8천원의 수수료가 들어가게 됩니다.

 

기능 시험

 

2종 소형 자격증을 따기 위해서 필기시험에 통과 했다면 기능시험에도 응시를 하셔야 합니다. 코스로는 곡선과 굴절 연속진로 바꾸기 코스 등이 있는데 기능시험의 경우 90점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재응시를 보셔야 합니다. 시험을 보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도 빈번한데 코스를 이탈하거나 사고를 내시면 절대 안됩니다.

 

2종 원동기 또한 기능검사를 보실 대는 250cc의 바이크로 좁은길과 곡선코스, 굴절코스와 연속진로 전환코스 시험을 보게 됩니다. 2종 소형과 마찬가지로 90점 밑으로 내려가게 되면 탈락을 하게되고 마찬가지로 사고를 내면 안되겠죠. 시험장 마다 코스의 순서가 다름으로 딱히 이렇다 정해진것은 없습니다.

 

오늘은 간단히 원동기 면허와 소형 운전면허를 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약간 관심만 있다면 그렇게 어렵게 따는 자격증은 아니니 한 번쯤 취미 삼아 취득 해 놓으시는 것도 괜찮은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원동기의 경우 사고가 한번 나게 되면 크게 다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것은 첫째도 둘째도 안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