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신고서 양식
양식다운 혼인신고서
혼인신고서를 내는것은 시간이 지나고나서 보면 별것 아닌것 처럼 생각이 들지만 막상 신고서를 올릴 때에는 많이 긴장이 되기도 합니다. 각 구청이나 시청에는 혼인신고서에 대한 양식이 잘 구비되어 있고 신고서 양식에는 여러가지 자세한 정보들을 써야하는것은 물론이거니와 한자로된 이름까지 써 내야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부모님들의 정보 또한 적어야 하는데요. 증인 2명이 필요하기 대문이에요 오늘은 혼인신고서 양식과 작성방법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혼인신고서
혼인신고서에는 못해도 도장이나 날인이 꼭 필요한데요. 두 사람이 같이 혼인신고를 하러 가는 경우가 아닐 때라면 양식을 따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일이 이것저것 꼬이게 되죠. 혼인신고서 양식은 간단하게 대한민국 법원 전자민원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해 보실 수 있는데요. 양식 자체가 이곳에서 작성되는것이기 때문에 가장 최신버전의 양식으로 서류를 신청 해 보실 수 있습니다.
딱히 서류를 작성하면서 어려운 부분은 없지만 만일 미성년자가 서류를 작성하는 경우라면 부모의 동의가 꼭 필요한데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혼인신고서 또한 요구하는 정보들이 많이 간략화 되고 있습니다. 신혼이던 재혼이던 양식을 제출하는 방식은 두 경우 마찬가지인데요. 만일 쓰기 어려운 사항이 있다고 한다면 제출하는 곳의 공무원에게 물어보면 친절하게 답해 주실겁니다.
기타정보
혼인신고서를 제출하는 곳은 가족관계 등록부가 지정되있는 지역이나 등기가 올라가 있는 장소로 자신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위치에서 등록이 가능한데요.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구청이나 주민센터 시청 등에서 혼인신고 양식을 제출 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국인의 결혼인 경우라면 혼인신고서를 작성 할 때 꼭 들어가야 하는 내용들이 있기 때문에 조금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죠
외국인 같은 경우에는 외국인 등록번호화 함께 출생국가나 기본적인 정보 또한 필요하게 됩니다. 혼인신고를 하게 되서 배우자 비자를 취득하는 것은 별개의 일임으로 혼인신고 부터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부양가족이나, 증인에 대한 부분이 확실시 되어야 간단하게 서류승인을 받아보실 수 있을거에요. 저 같은 경우도 외국인 아내(일본 와이프)와 결혼을 할 때 경제적 능력을 보아야 한다고 해서 부모님 찬스로 통장에 현금으로 3억 가까이 있는것을 보여주고 서류를 제출 했었는데요. 지금 생각 해 보면 금액이 조금 오바하지 않았나 생각 해 봅니다. (오히려 수상하죠.)
보통 간단하게 1.000만원 정도가 있는 계좌라면 문제 없이 진행이 되는가 본데 그래도 좀 안전을 지향하는 분이시라면 3.000만원 정도는 통장에 넣어놓고 시작하는것도 나쁘지 않겠죠. 저 같은 경우는 일본에 혼인신고서를 제출한 다음 그 내용이 한국으로 전송되게 되어, 한국에 있는 대사관에 들러서 한번 더 확인절차를 마친 후에 일본의 비자연장이 간단하게 이루어졌었는데요. 이리저리 왔다갔다 해야하기 때문에 지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긴 하지만 이동하는 부분을 최대한 줄여서 체력을 비축하는게 나름의 팁이죠.
오늘흔 혼인신고 양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국내 거주하시는 분이라면 그냥 간단하게 필요한 부분을 기입하면 혼인신고를 진행하실 수 있겠지만 외국인 같은 경우에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국가가 요구하는 사항을 어느 정도 충족시켜야 다음의 비자를 신청 할 때도 수월하기 때문에 준비할 것이 많은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연애 할 때 어떻게 만났는지, 증빙사진은 어떤것인지 서류를 총합해서 10몇개는 들어갔던것 같은데요. 일본 혼인신고는 정말 악명 높은것 같습니다. 뭐 지나고 나서의 추억이지만 앞선내용을 참고하셔서 간단하게 혼인신고 양식을 제출 해보시기 바라겠습니다.